■ 세력전
• 세력전은 세력 지역별로 소속된 호족들이 제사를 지내 토벌 세력의 봉인을 해제하고, 함께 토벌하는 레이드 컨텐츠입니다.
• 세력전은 지도 화면의 [세력전]을 클릭하여 진입할 수 있습니다.

■ 소속 지역
• [세력전]버튼 클릭 시 세력전에 참가하는 호족님의 소속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.

세력 지역
• 모든 도시는 총 7개의 지역으로 구분됩니다.
지역(도시 수) | 도시 |
하북(10) | 양평, 북평, 계, 업, 평원, 남피, 진양, 상당, 백마, 관도 |
서주(4) | 북해, 하비, 소패, 청주 |
중원(9) | 복양, 진류, 장안, 허창, 여남, 낙양, 홍농, 완, 신야 |
형주(10) | 양양, 강릉, 무릉, 영릉, 계양, 장사, 강하, 이릉, 공안, 남해 |
강동(11) | 시상, 여강, 수춘, 건업, 오, 회계, 광릉, 임천, 건안, 합비, 하구 |
서량(6) | 안정, 무위, 천수, 진창, 남안, 가정 |
익주(10) | 한중, 상용, 자동, 성도, 강주, 영안, 건녕, 운남, 교지, 백제 |
■ 세력전 1단계 - 제사
• 세력전의 가장 첫 단계로 모든 자원을 기부하여 제사 점수 조건을 달성 시 세력 봉인 해제를 할 수 있습니다.
• 제사는 1회당 자원(금, 식량, 철)을 30만씩 사용하며, 하루 3회 진행 가능합니다.
• 제사 점수는 제사를 지내는 장수의 정치력, 매력, 등급이 높을수록 점수 획득량이 증가됩니다.
• 세력전 지도 화면에서 각 지역의 제사 진행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• 제사가 시작된 지 3일(72시간)이 지나면 제사 점수가 3배 증가합니다.

세력 지역 |
제사 점수 조건 |
도시 |
하북 |
150,000 |
양평, 북평, 계, 업, 평원, 남피, 진양, 상당, 백마, 관도 |
서주 |
50,000 |
북해, 하비, 소패, 청주 |
중원 |
170,000 |
복양, 진류, 장안, 허창, 여남, 낙양, 홍농, 완, 신야 |
형주 |
150,000 |
양양, 강릉, 무릉, 영릉, 계양, 장사, 강하, 이릉, 공안, 남해 |
강동 |
170,000 |
시상, 여강, 수춘, 건업, 오, 회계, 광릉, 임천, 건안, 합비, 하구 |
서량 |
80,000 |
안정, 무위, 천수, 진창, 남안, 가정 |
익주 |
150,000 |
한중, 상용, 자동, 성도, 강주, 영안, 건녕, 운남, 교지, 백제 |
■ 세력전 2단계 - 봉인 해제
• 제사 점수가 100% 채워지면, 해당 지역에 포함된 도시의 태수 중 누구나 봉인 해제가 가능합니다.
• 봉인이 해제되면 총 9개의 세력 중 한 세력이 등장합니다.
• 세력전에 등장하는 장수들은 Episode에 구애받지 않으며, 이름이 동일한 장수 중 한 명이 랜덤으로 추첨됩니다.
- 1st ~ 3rd Monster는 순서 관계없이 랜덤으로 등장
• Event Boss는 boss 처치 후 추첨됩니다.
• 추첨된 세력전 장수의 병력은 세력전에 참가 신청한 호족 수에 따라 책정됩니다.
(의용군 참전/참전의 기회 사용 호족 제외)


세력 |
1st Monster |
2nd Monster |
3rd Monster |
Boss |
Event Boss |
난세의 간웅 |
순욱 |
하후돈 |
하후연 |
조조 |
곽가 |
촉한의 부흥 |
관우 |
장비 |
조운 |
유비 |
제갈량 |
강동의 패자 |
감녕 |
육손 |
여몽 |
손책 |
주유 |
하북의 군주 |
문추 |
안량 |
전풍 |
원소 |
심배 |
서량의 폭풍 |
방덕 |
한수 |
마대 |
마등 |
마초 |
폭군 재림 |
화웅 |
이유 |
장제 |
동탁 |
가후 |
남만의 위협 |
타사대왕 |
올돌골 |
목록대왕 |
맹획 |
축융 |
황건적 궐기 |
장양 |
장만성 |
관해 |
장각 |
장보 |
인중여포 |
고순 |
진궁 |
송헌 |
여포 |
장료 |
■ 세력전 3단계 - 신청 대기
• 신청 대기는 세력전에 참여할 인원들의 신청을 받기 전 상태입니다.
(다음 날 12:00까지 세력전 신청이 불가능합니다.)
• 입장 버튼을 통해 세력 토벌 화면으로 진입하여 세력전 진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(단, 신청 대기 시 등장하는 몬스터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, 세력전 시작 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)

■ 세력전 4단계 - 신청 중
• 신청 대기가 끝나고 다음 날 12:00까지 총 24시간 동안 신청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됩니다.
• 신청 중일 때는 등장 몬스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, 세력전 시작 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
신청
• 신청 시 신청 조건이 있으며,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신청 기간 내에 세력전 신청
- Lv.50 이상 장수 1명 이상 보유
- 해당 세력 지역에 소속된 지분율 0.1% 이상 보유
(단, 이전 회차 세력전의 제사 지분율 순위가 10위 이내인 경우 지분율 관계없이 신청 가능)
■ 세력전 5단계 - 진행 중
• 신청 기간이 종료되면 7일(168시간) 동안 세력전이 진행됩니다.
• 아래 화면을 통해 세력전 토벌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세력 장수 리스트
• 등장한 세력의 장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• 리스트의 적 장수는 가장 왼쪽에 있는 장수부터 순서대로 토벌 가능합니다.
• Boss까지 적 장수를 처치한 경우 Event Boss가 등장합니다.
세력 장수 정보
• 토벌 대상인 세력전 장수가 표시되며, 아래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장수 체력, 등장 순서, Episode, 대사
• 토벌 대상의 병력은 세력전에 참가 신청한 호족 수에 따라 책정되며, 병종은 랜덤으로 결정됩니다.
전리품
• 토벌 완료 시 해당 세력 장수에게 획득할 수 있는 전리품입니다.
• 해당 전리품은 '최고의 장수' 부분에서 상위 30명 중 지급 대상자 1명을 선정해서 지급됩니다.
• 모든 전리품은 거래 불가 형태로 금고에 지급되며, 결과 아이템도 거래 불가 형태입니다.
• 전리품 획득 확률은 순위가 높을수록 상승합니다.
- 1위 16%
- 2위 12%
- 3위 10%
- 4위 7%
- 5위 6%
- 6~10위 5%
- 11~14위 2%
- 15~30위 1%
Mob | 전리품 | 지급 기준 |
1st Monster | 영웅집결10 | 1st Monster의 [최고의 장수]부문 상위 30명 중 1명 |
2nd Monster | 영웅집결10 | 2nd Monster의 [최고의 장수]부문 상위 30명 중 1명 |
3rd Monster | 영웅집결10 | 3rd Monster의 [최고의 장수]부문 상위 30명 중 1명 |
Boss | 영웅집결1 | Boss의 [최고의 장수]부문 상위 30명 중 1명 |
Event Boss | 4등급 유물함 x 1 | 전체 [최고의 장수]부문 상위 30명 중 1명 |
세력 | 유물함 | 등장 아이템 |
난세의 간웅 | 조조의 유물함 | 4등급 무기 중 1개의 아이템 등장 |
촉한의 부흥 | 유비의 유물함 | 4등급 무기 중 1개의 아이템 등장 |
강동의 패자 | 손책의 유물함 | 4등급 무기 중 1개의 아이템 등장 |
하북의 군주 | 원소의 유물함 | 4등급 전체 아이템 중 1개의 아이템 등장 |
서량의 폭풍 | 마등의 유물함 | 4등급 말이나 방패 중 1개의 아이템 등장 |
폭군 재림 | 동탁의 유물함 | 4등급 방패나 투구 중 1개의 아이템 등장 |
남만의 위협 | 맹획의 유물함 | 4등급 투구나 갑옷 중 1개의 아이템 등장 |
황건적 궐기 | 장각의 유물함 | 4등급 갑옷이나 신발 중 1개의 아이템 등장 |
인중여포 | 여포의 유물함 | 4등급 신발이나 말 중 1개의 아이템 등장 |
세력전 회차 설정
• 현재 진행 중인 회차와 이전 회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장수 기록
• 해당 세력전 장수의 이전 전투 기록 정보를 항목과 순위별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.


5.1. 장수 카테고리
• 장수 기록을 토벌 대상 장수 또는 전체 장수 기준의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5.2. 상세 정보
• 해당 세력과의 세부 전투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토벌 대상 : 세력전 몬스터 표시
- 전적 : 각 토벌 대상과의 전투 횟수
- 기록 : 누적 점수 표시
- 통계 : 전적과 기록의 합계 표시
세력전 진행 정보
• 현재 진행 중인 세력전 정보를 나타냅니다.
- 현재 진행 회차, 토벌 대상 장수, 처치 가능 시간 표시
지형
• 세력전 시 지형이 무작위로 선정되며, 지형에 따라서 장수에게 배치된 병종의 공/방 스탯이 증가합니다.
지형 | 창병 | 극병 | 연노병 | 기마궁병 | 철기병 |
초원지대 | - | - | - | 공방+10% | 공방+7% |
수풀지대 | 공방+10% | 공방+5% | 공방+7% | - | - |
산악지대 | 공방+5% | 공방+10% | 공방+2% | - | - |
설원지대 | 공방+3% | 공방+3% | - | - | - |
장수 선택
• 세력전 수행 장수는 Lv.50 이상 장수만 수행 가능하며, 수행 도중 명령 수행을 취소할 수 없습니다.
• 세력전에는 호족님의 병력 대신, 무작위로 추첨된 병종 30,000명을 사용합니다.
• 병력이 배치된 장수는 참전할 수 없습니다.
토벌 설정
• 금 또는 선인의 지혜를 사용하여 설정된 자동 토벌 횟수만큼 세력전 토벌을 수행합니다.
- 금 사용 시 최대 15회, 선인의 지혜 사용 시 최대 30회까지 설정 가능합니다.
• 선인의 지혜를 사용하여 토벌을 진행하는 경우 회군 시간 소요 없이 즉시 회군합니다.
• 토벌 횟수에 따라 가격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각 횟수의 가격이 합산된 만큼의 재화가 필요합니다.
- ex) 선인의 지혜 3회 = 선인의 지혜 3개 사용
횟수 | 금 | 선인의 지혜 | 횟수 | 선인의 지혜 |
1 | 50,000 | 1 | 16 | 5 |
2 | 100,000 | 1 | 17 | 5 |
3 | 150,000 | 1 | 18 | 6 |
4 | 200,000 | 1 | 19 | 6 |
5 | 250,000 | 1 | 20 | 6 |
6 | 300,000 | 2 | 21 | 7 |
7 | 350,000 | 2 | 22 | 7 |
8 | 400,000 | 2 | 23 | 7 |
9 | 450,000 | 3 | 24 | 8 |
10 | 500,000 | 3 | 25 | 8 |
11 | 550,000 | 3 | 26 | 8 |
12 | 600,000 | 4 | 27 | 9 |
13 | 650,000 | 4 | 28 | 9 |
14 | 700,000 | 4 | 29 | 9 |
15 | 750,000 | 5 | 30 | 10 |
토벌
• 설정된 토벌 횟수만큼 세력전 토벌을 진행합니다.
• 토벌 시 1회당 출전 3시간, 회군 3시간으로 총 6시간이 소요됩니다.
• 토벌 중 장수가 처치된 경우 다음 장수로 남은 횟수를 진행합니다.
• 마지막 장수인 경우 횟수를 전부 사용할 때까지 진행합니다.
• 승리 시 철기병 토벌 기준 180%의 경험치를 획득하며, 패배 시 150%의 경험치를 획득합니다.
• 신청하지 못한 호족님은 토벌 시 선인의 지혜를 사용하여 세력전 참여가 가능합니다.
- 참전의 기회: 소속 지역일 경우, 선인의 지혜 19개를 사용하여 제사 지분율 관계없이 참여 가능합니다.
- 의용군 발동: 소속 지역이 아닌 경우, 선인의 지혜 39개가 사용하여 참여 가능합니다.
(단, 참전의 기회, 의용군 발동 아이템은 세력전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만 구매 가능합니다.)
■ 세력전 6단계 - 종료
• Event Boss 처치 또는 세력전 진행 시간(168시간)이 끝나면 세력전이 종료됩니다.
• 세력전이 종료되면 7일(168시간) 동안 세력전을 준비/진행할 수 없습니다. (7일간 제사 이용 불가)
■ 세력전 보상
• 세력전 종료 후 종목별 최고 기록, 제사 지분율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화면입니다.
- 기록이 동일한 경우, 최고 기록을 가진 호족 중 무작위로 추첨하여 수상자가 정해집니다.
• 세력전 보상은 거래 불가 형태로 금고에 지급되며, 결과물도 거래 불가 입니다.

• 최다 승, 최다 패, 최다 참여, 최저 레벨의 최다 승, 최고 레벨의 최다 패 : 영웅집결10 지급
• 1등급~5등급 장수의 최다 승 : 영웅집결1 지급

• 제사 지분율 : 획득한 제사 점수를 지분율로 환산하여 1~10위까지의 호족님에게 보상이 지급됩니다.
- 1위, 전공 점수 500점
- 2위, 전공 점수 450점
- 3위, 전공 점수 400점
- 4위, 전공 점수 350점
- 5위, 전공 점수 300점
- 6위, 전공 점수 250점
- 7위, 전공 점수 200점
- 8위, 전공 점수 150점
- 9위, 전공 점수 100점
- 10위, 전공 점수 50점
■ 명예의 전당
• 세력전에 참가한 호족 중 종목별 누적 기록이 가장 높은 호족을 보여주는 화면입니다.
